주식투자/종목분석

에프에스티 주식 종목 분석

구름밟다 2023. 7. 29. 00:26
반응형

 작년부터 올해 초까지 주가가 제법 좋았었다. EUV 관련 기대감에 한껏 올라왔지만 최근 악의적인 뉴스로 주가가 폭락했다가 EUV 펠리클 탈부착, 검사 장비 수주를 국내 최초 공급한다는 소식에 하락분을 반납하고 재상승하고 있다. 현재 EUV 펠리클의 양상성 확보에 대한 기대감도 여전히 존재하며, 향후 수율과 양산을 동시에 잡아낸다면 정말 크게 상승할 수 있는 기업이라고 생각한다. 주가 밴드 역시 바닥에서 확실하게 방향을 돌린 것으로 보인다. PER 최대 30배까지 받았었다. 이 회사 공시 보고서가 상당히 부실하다. 실질적인 주요 설비와 자회사 "이솔"에 대한 내용도 보이지 않는다. IR자료를 다운로드하여서 공부해야 하기에 일반인이 공시보고서만 보고 접근하게 되면 물음표만 던지게 만드는 내용들이 많다. 분석 가능한 자료를 토대로 최대한 풀어써 보도록 하겠다. IR 자료가 인터넷상에 있으니 필히 한번 읽어 보시거나 동영상 시청도 권장드린다. 보고서만 보고 판단해서는 안 되는 회사다.

에프에스티 주가 밴드차트
EUV 기대감에 비해서는 싼편이라 생각된다. 방향은 확실히 틀어서 상승 추세로 보인다.

1. 회사의 개요

(1) 사명 : 에프에스티, FINE SEMITECH CORP.

(2) 연결자회사 : 비상장 6개사. 중국 법인 2개, 미국 1개사 100% 지분보유. 에스피텍(100% 지분), 화인세라텍(57.17% 지분), 에프엑스티(70% 지분). 이 회사 연결회사 중에 공시 보고서상 안 보이는 "이솔"이라는 업체가 있다. 이 기업이 핵심 기술을 통해 에프에스티의 미래 성장성이 가늠하게 되는 중요한 회사 중 하나이다. 실질적인 에프에스티는 지주사 역할이 강했지만 최근 클라넷을 흡수합병 하면서 사업회사로의 성격도 갖추었다.

(3) 시가총액 : 5,744억

(4) 주주현황 : 대주주 24.21%, 자사주 9.93%, 삼성전자 7%, 삼성전자가 직접 투자한 기업입니다.

(5) 경기도 화성시 소재, 중견기업 해당.

(6) 배당 소액씩 매년 지급하고 있고, 작년에 자사주 20억 정도 매입.

(7) 전환사채 없음.

(8) 스크러버 전문 종속회사  "클라넷" 흡수합병

(9) 주요 재무 : 아래표 확인

 

에프에스티 주요 실적
칠러 사업의 자회사 때문에 당기순이익이 높았음.

2. 사업의 개요

 (1) 펠리클 사업

 기본적으로 DUV 쪽 사업은 잘 수행하고 있다. 우리가 기대하는 부분은 EUV 펠리클 쪽인데, 펠리클은 EUV 노광 공정에서 회로도가 그려진 포토 마스크를 보호해 주는 소재이다. EUV 마스크는 무결점이 요구되는 고난도 소재이며 가격 또한 장당 수억단위의 고가이다. 이  마스크에 파티클(오염물질) 발생되면 웨이퍼를 패기 해야 되고 이 파티클을 없애기 위해 마스크 위에 위치하여 마스크를 보호해 주는 소재가 펠리클이다. 에프에스티는 DUV용 불소수지 펠리클은 양산해서 공급하고 있다. EUV 펠리클은 DUV 대비 가격이 70배 이상 고가의 소재이며, 훨씬 높은 투과율과 내구성이 요구된다. 23년 3월 에스엔에스텍이 투과율 91% 에프에스티가 90% 이상, 내구성도 만족하여 물성 테스트 값은 어느 정도 만족한 것으로 알고 있다. 다만 실제 생산 라인과 테스트 환경은 다르기에  실험실 데이터 만으로 고가의 EUV 장비에 TEST 할 수 없어 상용화 시점은 조금씩 늦어지고 있다. 현재 삼성은 펠리클 없이 EUV 공정 진행 중이며, 비싼 포토 마스크 계속 소모 중. EUV 장비가 고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펠리클이 깨져 수천억의 EUV 장비에 문제가 될 수 있기에 리스크 관리 부분에서 지연되고 있다는 것이 여러 매체와 방송에서 나온 내용임. TSMC에서도 일본 제품 사용하다 자체 개발 하여 양산에 성공했고 테스트도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투과율도 낮고 테스트 도중 몇 번 깨지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이 TSMC처럼 학습 비용을 치를 것인가 의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지금 가동률이 많이 떨어져 있기에 삼성에서 EUV라인에서 TEST 하기에는 적기가 아닌가 생각된다. 사측에서는 24년, 업계에서는 25년 정도를 양산 시기로 보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삼성의 결심만 남은 시점이라고 보면 되겠다. 삼성이 EUV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펠리클은 시점의 문제라고 생각되며, 동사가 EUV 펠리클 탈부착 검사장비를 납품했다는 것은 향후 동사의 펠리클 사용에 대해 장밋빛 전망을 기대해 볼 수 있지 않겠냐는 생각도 든다. 

에프에스티 주요 사업부
에프에스티 주요 사업

(1.1)  펠리클 장비

- EPIS : 펠리클에 묻은 이물질 검사하는 장비.

- EPMD : 마스크에 자동으로 탈부착하는 장비

- EPODIS : 펠리클이 장착된 EUV 마스크를 보관하는 통(Dual Pod) 내 먼지가 있는지 검사하는 장비

(1.2) 이솔 장비 및 분석 : 고차 조화파 EUV. EUV를 직접 만들 수 있는 기업이다.

 - SREM : EUV 광원을 이용하여 마스크 결함을 파악. 일본 레이저텍 독점 국산화 (EUV 광원을 직접 만든다.)

 - EPTR : EUV 광원을 이용하여 EUV 펠리클 투과율과 반사율을 측정하는 장비

 - EPhase : EUV 위상 측정 장비. 

 - 에밀레(EUV Micro-interference Lithography Equipment) :  EUV용 포토 레지스트 (PR) 성능 평가 장비

 (2) 칠러사업

유니셈, GST와 같은 칠러 사업도 영위하고 있다. 설비 유지보수 사업은 종속회사가 수행.  

(3) 기타 사업

 - SOLUTION 사업 : 미국, 유럽, 아시아 다수 반도체 부품사들과 제휴를 통해 센서반도체, 전력전자반도체, LED등을 관련 사업에 기술지원, 영업 및 마케팅 사업 영위

 - 에스피테크 : 반도체 및 FPD 펠리클용 프래임 생산과 판매.

화인세라텍 : 반도체 장비 內 정밀 세라믹 부품 등 다양한 반도체 관련 부품 제조, 판매 (프로브 카드용 다층 세라믹 기판)

- 에프엑스티 : 실리콘 카바이드 소재 반도체 부품 제조 및 연구개발. (SIC링.) 

3.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매출 비중은 펠리클과 칠러 쪽 거의 반반이며, 비중은 낮지만 파츠, SIC링 등 매출도 발생하고 있다. 칠러 쪽 매출 비중이 줄고 펠리클 쪽 비중이 많이 올라왔다 예전에는 칠러 쪽 비중이 더 높았다.

에스에스티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펠리클과 칠러쪽 거의 반반이다.

4. 원재료 및 생산설비, 매출 및 수주상황

당사 분석 내용에서는 중요한 사항이 아니기에 생략하겠다.

5. 종합.

 공부를 하면 할수록 점점 더 깜짝 놀라게 만드는 기업. 아직 숫자로 명확하게 나오지는 않지만 제대로 EUV 쪽 전력투구 하고 있는 기업이다. 관련 기술력도 엄청나고, 특히나 장점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 에스엔에스텍보다 더 좋아 보이는 건 실제 관련 장비까지 생산을 다 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숨겨진 기업이라 더 그런 듯하다. 향후에 기대대로 성장이 가능할지는 봐야겠지만 EUV 시장의 성장과 함께 동사가 성장해 나가기를 기대해 본다. 미래를 보고 투자해야 되는 기업.

728x90